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자동차 핸들락 푸는법 및 핸들 잠김 원인 파악하기

by 나의계획 2023. 1. 8.

운전자라면 누구라도 한 번쯤 핸들 잠김 상황이 발생한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시동을 걸려고 할 때나 운전 중에 이런 상황이 발생하면 적잖이 당황스러울 것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자동차 핸들락 푸는 법 및 원인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자동차 핸들락 푸는법 및 핸들잠김원인파악하기 이미지

 

핸들락 푸는 법

스마트키를 가진 차와 일반키를 이용하는 방식은 다르게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많은 원인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응급 상황이 발생하여 운전을 전혀 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때 무조건 긴급차량을 호출하거나 정비소로 가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아래의 순서대로 진행해 보면 대부분 해결이 됩니다.

 

1. 스마트키는 시동을 켜서 핸들 잠김을 쉽게 해제할 수 있습니다.

만약 스마트키 이용 차량이라면 핸들락 푸는 법이 간단하며 차량 내에 스마트키가 있다면 도난방지 시스템 작동이 되지 않기 때문에 시동만 걸어주면 해결됩니다. 주차 중에 스티어링 휠을 한 방향으로 지나치게 돌렸을 때 이런 상황이 발생할 수 있지만 간단한 스마트 시동만으로 해결됩니다.

 

2. 일반키는 한쪽 방향으로 최대한 돌린 후 차량키를 꽂아 시동을 겁니다.

스마트 차량과 달리 오래된 연식의 차량이거나 회전식 일반 자동차키로 시동을 거는 경우에는 핸들락 푸는 법이 다릅니다. 모든 차량에는 도난방지 장치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키가 활성화되어 시동이나 On 상태가 되지 않으면 풀리지 않습니다. 한쪽 방향으로 최대한 돌린 후에 일반키로 시동을 걸기 위한 시도를 해야 합니다.

 

3. 한 방향으로 돌린 스티어링 휠을 좌우로 흔들어 핸들락을 풀어 줍니다.

차량 키를 이용하는 차량의 경우에는 운전대를 원하는 방향으로 최대한 끝까지 돌려줍니다. 운전대가 한쪽으로 최대한 돌려졌다면 키를 꽂은 후 키를 여러 방향으로 돌리면서 핸들을 좌우로 조금씩 흔들어 줍니다. 이렇게 몇 번 시도를 하게 되면 돌아가는 느낌이 조금 헐거워지면서 키가 On 방향으로 돌아가게 되며 시동이 걸리면 해제됩니다.

 

4. 주행 시에는 스티어링 휠을 강한 힘으로 강제로 운전대를 돌려 안전지대로 이동합니다.

만약 주행 중에 이런 현상이 발생할 때는 주저하거나 당황해서는 안됩니다. 안전지대로 차량을 이동시키기 위해 비상 깜빡이를 점등하고 가능하다면 수신호도 적극적도 해야 합니다. 우선 조향 방향이 정면이라면 강하게 원하는 방향으로 힘을 주어 강제로 회전을 시켜야 합니다. 약간의 움직임으로 조향 방향을 바꾸어서 안전지대로 이동 조치를 즉시 시행해야 합니다.

 

5. 안전지대에 정차하고 삼각대 설치한 후 긴급출동차량을 호출해야 합니다.

강하게 돌려 안전한 게 갓길 또는 안전지대에 주차한 후에는 삼각대를 설치하여 차량 결함을 다른 운전자에게 알려야 합니다. 이는 운전자라면 지켜야 할 의무이기 때문에 1차 조치를 진행한 후에 긴급출동차량을 호출하거나 위에서 알려드린 방법을 사용하여 핸들락 해제한 후에 운행해야 합니다.

 

 

 

 

자동차 핸들 잠김 원인

  • 결함이 아닌 경우
  • 주차 시 조향 방향이 한쪽으로 많이 치우치고 시동이 꺼진 경우
  • 도난방지장치가 작동되는 경우
  • 자동차 배터리가 없을 때
  • 비 오는 날 핸들 잠김

 

일반적인 차량 핸들 잠김 원인은 대부분 차량 주차 시에 조향 장치 방향을 한쪽으로 많이 돌려놓고 시동을 껐을 때 발생합니다. 또는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많은 조작으로 인해 도난방지 장치가 작동되는 경우에 이런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 문제는 차량 결함이나 고장과 관계없는 아주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배터리가 없을 때 시동을 걸려고 시도하면 잠김 현상이 발생하며 배터리 교체 또는 충전만으로도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 오는 날 만약 핸들락이 걸린다면 이 문제를 조금 다릅니다. 비가 많이 와서 자동차 안으로 비가 유입되면서 팬벨트 제대로 돌지 못해 유압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해 락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교체를 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차량 결함으로 인한 문제

  • 스티어링 휠 결함 또는 고장
  • 자동차 토크센스 결함

 

차량결함이나 고장이 원인일 때는 다른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스티어링 휠 자체의 결합이나 고장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MDPS)의 토크센스가 휘어버리는 현상 때문에 잠기거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현대차와 같은 국내 차량들 대부분이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방식으로 출시되고 있습니다.

 

2006년 이전 차량들은 유압식 파워방식을 대부분 사용하였기 때문에 전자장치제어(ECU) 방식보다는 결함이 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신 출시 차량들은 대부분 MDPS인 전자식 조향장치를 이용하기 때문에 센서에 에러나 문제가 발생하거나 토크센스인 주요 부품 결함만으로 경고등 점등이나 차량 쏠림, 방향 전환 시 무거움을 느낄 수가 있습니다.

 

토크센서 교체

전자식 조향 장치에는 토크센스라는 장치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토크센서는 전자 모터의 회전하는 축의 토크를 측정하는 센서이며 EPS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부품입니다. 차량 핸들 잠김 현상이 자주 발생하거나 조향 장치를 조작할 때 무거움을 느끼게 되는 경우에 토크센서 자체를 교체해야 할 수 있습니다.

 

따로 점검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스마트키를 이용하는 차량임에도 불구하고 스티어링휠 락 현상이 자주 발생했다면 꼭 점검을 받아야 합니다. 토크센서에 문제가 생기거나 물리적 고장으로 휘어 버리게 되면 운전대 공간의 유격으로 인해 안정적인 방향전환이 어렵고 고속도로와 같은 곳에는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니 자주 점검해 주어야 합니다.

 

 

 

 

마치며

자동차 핸들락 풀기를 해야 할 때가 오지 않는 것이 좋지만 만약 그 상황이 발생했을 때는 당황하지 않고 차근차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요즘 차량들은 대부분 스마트키를 이용하는 차량이 많아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운행 중에 발생하는 경우는 일반 키를 사용하는 차량 보다 더 많아졌습니다. 차량 정비를 정기적으로 진행하여 문제가 발생되지 않게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2022.12.28 - [분류 전체보기] - 오토홀드 기능 AUTO HOLD 단점에 대해 알아보자

 

오토홀드 기능 AUTO HOLD 단점에 대해 알아보자

요즘 자동차들은 대부분 오토홀드 기능이 장착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이 기능을 아직 몰라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때론 이런 기능이 있는 차량을 타고 다니시지만 언제 써야 할지

hd69.tistory.com

 

댓글